1.대한항공 (Korean Air)
설립 연도: 1969년
운항 노선: 국내 및 국제선 (전 세계 170개 이상의 목적지)
안전성:
대한항공은 IOSA (IATA Operational Safety Audit)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공사 안전 평가 기관에서 높은 안전 점수를 받고 있습니다.
과거 몇 차례 사고가 있었으나,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개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우수한 항공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APEX(Airline Passenger Experience Association)에서 안전성 평가가 매우 우수한 항공사로 꼽히기도 했습니다.
2.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설립 연도: 1991년
운항 노선: 국내 및 국제선 (전 세계 70개 이상의 목적지)
안전성:
아시아나항공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공사 안전 평가 기관인 AirlineRatings.com에서 7년 연속 최고 안전 항공사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안전 기술 및 사고 예방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으며, 기내 안전 훈련도 철저히 이루어집니다.
2020년 기준으로 안전성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지속적으로 안전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제주항공 (Jeju Air)
설립 연도: 2005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제주항공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저비용 항공사(LCC)**로서도 안전성을 우선시합니다.
항공사 안전 기준을 충족하며, 기내 안전 교육 및 비행기 유지 보수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주항공은 국내 저비용 항공사들 중에서 안전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4. 에어부산 (Air Busan)
설립 연도: 2007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에어부산도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 관리 및 비행기 유지보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기내 안전 훈련과 비행기 점검을 강화하며, 저비용 항공사지만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한 항공사입니다.
5. 이스타항공 (Eastar Jet)
설립 연도: 2007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이스타항공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 관리에 철저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기내 안전 훈련과 비행기 점검을 철저히 하여, 저비용 항공사 중에서도 안전성을 강화하는 항공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6. 진에어 (Jin Air)
설립 연도: 2008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진에어는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 관리 및 기내 안전 훈련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이 드물며, 저비용 항공사로서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7. 티웨이항공 (T'way Air)
설립 연도: 2010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티웨이항공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내 안전 교육과 운항 안전을 위한 절차를 잘 따르고 있습니다.
저비용 항공사이지만, 안전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8. 에어서울 (Air Seoul)
- 설립 연도: 2016년
-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 안전성:
- 에어서울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내 안전을 위해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합니다.
- 저비용 항공사로서도 안전성에 신경 쓰며, 안정적인 운항을 목표로 합니다.
9. 에어프레미아 (Air Premia)
설립 연도: 2017년
운항 노선: 중·장거리 국제선 (미국, 유럽 등)
안전성:
에어프레미아는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항공사로서 안전성을 중시합니다.
최신형 보잉 787 기종을 사용하여, 고급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안전성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10. 플라이강원 (Fly Gangwon)
설립 연도: 2019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안전성:
플라이강원은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내 안전 교육과 비행기 점검을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저비용 항공사이지만 안전성에 있어서도 신뢰를 쌓고 있습니다.
11. 하이에어 (Hi Air)
설립 연도: 2019년
운항 노선: 국내 소형 항공 노선
안전성:
하이에어는 소형 항공사로서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신 항공기와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12. 에어로케이 (Aero K)
설립 연도: 2021년
운항 노선: 국내선 및 국제선
안전성:
에어로케이는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저비용 항공사로서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습니다.
기내 안전 교육 및 비행기 유지보수에 철저히 대응합니다.
안전성 종합 평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국제적으로도 안전성이 우수한 항공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저비용 항공사들도 IOSA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 관리와 기내 안전 훈련을 철저히 시행하고 있습니다.
에어프레미아와 플라이강원 같은 새로운 항공사들도 안전성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대부분 항공사는 안전성 기준을 잘 따르고 있으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안전성에서 특히 우수한 평가를 받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믈스믈 피어오르는 우울감 다스리기 (0) | 2025.04.01 |
---|---|
살림살이 정리의 즐거움 (0) | 2025.03.30 |
금퇴족이 되기 위한 현실적인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3.28 |
남편의 기운을 돋우고 가정의 화목을 이루는 안방 풍수 인테리어 (0) | 2025.03.25 |
이혼에 대한 주제... tv 예능에 까지. 시청자에게 주는 영향 (0) | 2025.03.22 |